2025년 카드 소득공제 폐지와 현명한 절세 대책 총정리

카드 소득공제 제도가 2025년 12월 31일 일몰을 앞두고 있어 많은 직장인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약 569만 명이 혜택을 받고 있는 이 제도가 폐지될 경우, 연봉에 따라 최대 49만원의 추가 세금이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논의의 배경에는 국가 재정 상황이 있습니다. 세수 결손이 2023-2024년 약 87조원에 달하고, 2025년에도 17조원의 세수 부족이 예상되면서 정부는 조세특례 제도 전반을 재검토하고 있습니다.

현재 카드 사용에 따른 소득공제는 신용카드 15%, 체크카드와 현금영수증 30%의 공제율이 적용되며, [세금 계산 시뮬레이터](https://www.nts.go.kr)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봉 7천만원 이하 직장인의 경우 최대 300만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 구간별로 살펴보면, 연봉 1,000만원 초과~2,000만원 이하는 약 10만원, 4,000만원 초과~6,000만원 이하는 약 28만원의 추가 세금이 예상됩니다. 특히 연봉 5,000만원 직장인은 최대 49만 5천원의 세금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국세청 홈택스](https://www.hometax.go.kr)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절세 수단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연금계좌 납입(연간 900만원 한도), 주택청약저축(월 25만원, 연 300만원 한도), 의료비·교육비 세액공제, 기부금 세액공제, 월세 세액공제 등을 통해 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아울러 정부 정책 변화에도 주목해야 합니다. 현재 야당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일몰 연장 법안이 발의된 상태이며, 완전 폐지보다는 공제율이나 한도 축소 방향으로 조정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정책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장기적인 재무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